국문초록
-
목적
- 수입 각막을 이용해 숙련된 술자가 시행한 삼중 데스메막 내피각막이식술(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DMEK) 후 임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방법
- 2023년 1월부터 2025년 6월까지, 백내장과 동시에 수행된 삼중 DMEK을 시행 받은 26명(30안)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되었다. 일반적인 수술 전 검사 후, 백내장 수술과 동시에 DMEK이 시행되었으며 수술 후 1, 3, 6, 12개월 후 본원에 방문하여 나안 및 최대교정시력, 굴절 이상, 각막 두께 및 내피세포 밀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
결과
- 30안의 대상안 중 12안은 푹스각막이상증, 12안은 유수정체안내렌즈삽입술 후 발생한 내피세포 기능 부전이었다. 대상자들의 평균 관찰 기간은 437±263일이었다. 삼중 DMEK 수술 후 환자의 나안시력은 수술 전 0.73±0.6 (logMAR)에서 수술 후 3개월째 0.65±0.54, 1년째 0.29±0.26으로 서서히 좋아지는 양상을 보였다(P<0.001). 각막두께의 변화는 수술 전 565.7±70.0, 수술 후 3개월째 535.2±44.2, 6개월째 549.7±73.5, 12개월째 535.82±49.0 μm이었으나 모든 시점에서 수술 전과 비교하여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 각막내피세포 밀도는 수술 전 798±363 에서 수술 후 3개월째 1,479±475, 6개월째 1,456±456, 12개월째 1,332±346, 마지막 방문 시 1,399±519 cells/mm2였다.
-
결론
- 수입된 DMEK 절편을 이용하여 수행된 삼중 DMEK은 비교적 안전하며 수술 1년까지 심각한 내피세포의 손상이나 각막굴절력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
중심단어: 데스메막내피각막이식술; 초음파 유화술; 인공수정체삽입술; 굴절 이상; 각막내피세포밀도
Abstract
-
Purpose
- This study reports the clinical outcomes, after triple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DMEK) performed using imported corneas.
-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30 eyes of 26 patients who underwent Descemet's membrane keratoplasty concurrently with cataract surgery, referred to as triple DMEK, from January 2023 to June 2025. After routine preoperative examinations for keratoplasty as well as cataract surgery, uneventful DMEK surgery was performed concurrently with cataract surgery. All patients visited the clinic at 1, 3, 6, and 12 months after surgery to observe changes, including uncorrected and best spectacle corrected visual acuity, refractive error, corneal thickness, and endothelial cell density.
-
Results
- Preoperatively, 12 of the 30 eyes had Fuchs corneal endothelial dystrophy and 12 had endothelial failure following phakic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The average observation period for the subjects was 437±263 days. After triple DMEK surgery, the patients' uncorrected visual acuity gradually improved from 0.73±0.6 (logMAR) before surgery to 0.65±0.54 at 3 months and 0.29±0.26 at 1 year (P<0.001). The change in corneal thickness was 565.7±70.0 µm before surgery, 535.2±44.2 µm at 3 months after surgery, 549.7±73.5 µm at 6 months, and 535.82±49.0 µm at 12 months, bu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compared to before surgery at any time point (P>0.05). The endothelial cell density was 798±363 cells/mm2 before surgery, 1,479±475 cells/mm2 at 3 months after surgery, 1,456±456 cells/mm2 at 6 months, 1,332±346 cells/mm2 at 12 months, and 1,399±519 cells/mm2 at the last visit (P<0.001).
-
Conclusion
- Triple DMEK surgery, which is performed for various corneal diseases, is relatively safe. No significant endothelial damage, refractive changes, or visual acuity abnormalities were observed up to one year after surgery. Future prospective studies including a larger number of participants are warranted to evaluate the safety and clinical outcomes of triple DMEK using imported corneas.
-
Keywords: Descemet membrane keratoplasty; Phacoemulsification;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Refractive errors; Corneal endothelial cell density
서론
데스메막내피각막이식술(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DMEK)은 2006년에 Melles 등[1]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다. 이 수술의 주요 장점은 병든 각막내피세포와 데스메막만 제거하고 건강한 조직으로 치환한다는 것이고, 이를 통해 빠른 시력 회복과 거의 최고 수준의 시력 회복이 가능하다는 것이다[1,2]. DMEK의 시력 회복 정도는 데스메막 박리 내피각막이식술(Descemet-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DSAEK] 혹은 Descemet-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DSEK]) 혹은 전체층 각막이식술(penetrating keratoplasty)과 비교해도 우수한 수술 성적을 보인다[3,4]. DMEK의 또 하나의 장점은 수술 시 봉합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고, 이는 수술로 인한 굴절력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백내장이 있는 환자에서 동시에 수술을 수행하더라도 인공수정체(intraocular lens) 도수의 계산과 수술 후 굴절력의 변화가 비교적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는 과거의 DSAE 혹은 전체층 각막이식술에서는 생각할 수 없었던 큰 변화이다[5,6].
푹스씨 각막내피세포이상증(Fuchs endothelial corneal dystrophy, FECD)과 유수정체안내렌즈삽입 후 내피세포 기능 부전을 포함해 DMEK의 적응증이 되는 많은 경우에서, 백내장 수술과 동시에 DMEK을 수행할 것인가에 대해 많은 연구가 있으나, 아직 이에 대한 결론은 명확하지 않다[7]. 일부 연구는 백내장과 DMEK의 동시 수술(삼중 DMEK)과 단계적 수술 간에 최대교정시력 및 내피세포의 손상 정도에 차이를 보인다고 하였으며, 다른 연구들은 나이와 수술 전 시력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고 하였다[7-9].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거의 모든 DMEK 및 삼중 DMEK은 각막 보존과 수술일 사이에 적어도 1주 이상의 공백이 존재하고, 10,000 km 이상 떨어진 미국에서 준비된 각막을 수술에 사용하고 있어 미국이나 유럽에서 보고되는 수술 결과와는 많은 차이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아직 삼중 DMEK 수술이 널리 시행되지 않는 우리나라에서 단일 술자에 의해 삼중 DMEK을 시행한 임상적 관찰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단일 기관에서 시행된 삼중 DMEK 수술 결과에 대해 후향적으로 조사한 연구이며, 헬싱키 선언(Helsinki Declaration)의 원칙을 준수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강남세브란스병원 IRB의 승인 후(IRB No. 3-2016-0078) 진행된 연구로 2016년부터 연구되어 온 내피세포이식술 임상연구 환자 코호트에서 삼중 DMEK만 수행한 환자를 선별하여 수술 전후의 임상 결과 및 내피세포 밀도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모든 환자는 수술 시 데이터가 임상 연구에 사용될 수 있다는 충분한 설명에 동의하였으며, 환자 개별을 식별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는 삭제되어 분석되었다.
대상 환자
2023년 1월부터 2025년 6월까지 본원에서 삼중 DMEK 수술 시행 후 최소 3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환자 26명(30안)을 대상으로 환자의 수술 전후 데이터들이 분석되었다.
수술 전 검사
모든 환자는 DMEK과 백내장 수술 시 시행하는 임상검사가 시행되었다. 환자의 교정시력, 나안시력, 안압, 세극등현미경검사가 저자들 중 한 명 이상의 연구자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전안부 빛 간섭 단층촬영(anteri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은 CASIA 1 (Tomey)로 검사되었으며 각막내피세포 밀도는 경면현미경(CellCheck SL; Konan Medical)으로 분석되었다. 수술 전후 굴절력과 각막지형도 분석은 placido disc topography와 dual-Scheimpflug 기법을 이용한 Galilei G4 (Ziemer Group)를 이용하였다. 백내장 수술을 위한 인공수정체 도수 결정은 IOLMaster 700 (Zeiss)를 이용하였으며 이외 환자는 안저 및 동공 검사가 수행되었다.
수술 방법
모든 수술은 단일 술자(LHK)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2% lidocaine 점안 마취하에 국소마취로 진행되었다. DMEK을 위한 각막조직은 모두 Eversight를 통해 제공되었으며 각막편 준비를 위해 시행한 검사상 내피세포 밀도는 2,400 cells/mm2 이상의 것들만 수술에 사용되었다.
수술 기법에 대해선 이미 기술하였지만[10] 여기선 간략히 기술한다. 백내장 제거술은 일반적인 초음파 유화술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시술된다. 이때 데스메막 절편 주입을 위해 백내장 창상의 크기는 2.8 mm로 시행되며 수술은 상이부 절개를 통해 이뤄진다. 백내장 제거가 끝나고 인공수정체 삽입이 끝나면 Miostat (Carbachol; Alcon)을 주입하여 축동을 유도한 후 26G 주삿바늘로 하이부에 홍채 절개를 시행하였다. 이후 점탄물질(Healon; Johnson and Johnson)이 주입된 상태에서 8.5 mm 크기의 descemetorhexis를 수행한다.
Eversight로부터 데스메막이 분리되고 ’s’ 마크가 paracentral에 인장된 상태로 제공된 각막조직은 optisol solution에 담겨 수술실로 배달된다. 해당 조직은 환자의 각막 크기에 따라 7.75–9.0 mm 크기의 데스메막 절편으로 절개되어 약 1분 정도 VisionBlue dye (Vision Blue)로 염색한 후 DORC injectable system (curved cannular for DMEK flap injection)에 실려서 전방 내로 주입된다. 전방 내 주입된 데스메막 절편은 각막 두드림(tapping)과 공기를 이용해 펴고 절편 아래 SF6 (sulfur hexafluoride) 20% 가스를 주입해 수술을 마친다.
모든 대상 환자의 인공수정체 도수는 수술 후 약간 원시화되는 경향을 고려하여 –1.0에서 –1.50 diopter (D) 사이를 타깃으로 하여 ICB00 (TECNIS Eyhance; Johnson & Johnson Vision) 혹은 ZCB00 (TECNIS Monofocal; Johnson & Johnson Vision) 인공수정체가 선택되었다.
수술 후 관리
모든 수술 환자는 수술 후 1, 8, 15, 30일째 관찰하였으며 이후의 추적관찰은 환자의 상황에 따라 조정되었다. 수술 직후 환자는 Vigamox (Alcon), PredForte (Allergan), Maxitrol (Alcon) 안약을 점안하도록 하였으며 수술 후 2–3개월간 유지되었다. 수술 후 낭포황반부종을 방지하기 위해 수술 전 1주부터 수술 후 한 달간 0.1% bromfenac solution (Taejoon Pharmaceutical)을 점안하도록 하였다. 만일 데스메막 절편의 박리가 30% 이상의 면적에서 발견되면 곧바로 재공기주입술을 시행하였다. 만일 재공기주입술을 4번 이상 시행하거나 수술 후 첫날 전체 이식편 박리가 생기는 경우, 혹은 수술 후 3개월 이내에 각막의 투명도가 회복되지 않는 경우는 이식편 일차 실패(primary graft failure)로 간주되어 DSAEK 수술이 시행되었다.
통계 분석
수술 후 합병증이 발생한 케이스라도 모두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하지만 이식편 일차 실패를 경험한 2케이스는 통계분석에서 제외되었다. 연속 변수는 평균±표준편차로 표기되었으며 시기별로 내피세포의 변화량, 굴절 이상의 정도는 Student t-test와 Wilcoxon test를 통해 분석되었다. P값는 0.05 미만을 의미 있는 변화라 정의하였으며 모든 통계는 IBM SPSS ver. 24.0 (IBM Corp.)를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
2023년 1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총 35명(39안)에서 삼중 DMEK 수술이 시행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9안은 연구에 포함되지 않았는데 2안은 이식편 일차 실패였으며, 7안은 수술 후 90일 이상 관찰되지 않았거나 추적관찰 중 검사가 충분히 포함되지 않았다. 대상안에 대한 기본데이터는 Table 1에 정리하였다. 대상자들의 평균 관찰 기간은 437±263일이었으며 남녀 비율은 10:16으로 여성이 많았다.
수술 후 환자의 나안시력은 수술 전 0.73±0.61 (logMAR)이었으며 수술 후 3개월째 0.65±0.54, 1년째 0.29±0.26으로 서서히 좋아지는 양상을 보였다(P<0.001). 환자의 굴절 이상을 고려한 최대교정시력은 모든 환자에서 측정되지는 못했으나, 대부분의 환자에서 0.8 이상의 시력을 보였다(Fig. 1). 내피세포 밀도 변화는 수술 전 798±363 cells/mm2에서 수술 후 3개월째 1,479±475 cells/mm2, 6개월째 1,456±456 cells/mm2, 12개월째 1,332±346 cells/mm2, 마지막 방문 시 1,399±519 cells/mm2를 보여 수술 후 모든 시점에서 수술 전에 비해 내피세포의 밀도가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P<0.01). 또한 수술 후 3개월째와 비교하여 수술 후 1년째 내피세포의 밀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이 안정된 소견을 보였다(P>0.05) (Fig. 2). 하지만 각막 제공업체에서 제공된 내피세포의 밀도가 2,400 cells/mm2 이상이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수술 후 3개월째 40% 정도의 각막내피세포 밀도 감소를 보였다.
Galilei G4를 이용해 측정된 각막 두께는 수술 전 565.7±70.0 µm, 수술 후 3개월째 535.2±44.2 µm, 6개월째 549.7±73.5 µm, 12개월째 535.82±49.0 µm, 마지막 방문 시 540.8±68.2 µm의 두께를 보여 수술 전보다 약간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모든 시점에서 수술 전과 비교하여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Fig. 3).
수술 전후 난시의 변화는 자동굴절검사기(KR1; TopCon)와 Galilei SimK 값을 이용해 측정하였으며, 자동굴절검사기로 측정한 난시 값은 수술 전 1.53±1.33 cylinder diopter (CD), 수술 후 3, 6, 12개월째 각각 1.39±1.22, 1.44±1.49, 1.37±1.25 CD로 측정되어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 3개월에서만 경도의 차이가 있으며(P=0.041) 나머지 시기엔 통계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P>0.05) (Fig. 4). Galilei G4로 측정된 난시 변화는 수술 전 2.05 D에서 수술 후 1년째 1.88±1.17 D (P=0.0025) (Fig. 5)만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고, 나머지 시기엔 차이가 없었다.
고찰
백내장 수술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가장 많이 수행되는 수술이며, 연간 1천만 건 이상이 수행된다고 한다[11]. 또한 FECD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각막내피세포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기능부전증으로 서양에서는 내피세포에 기인한 가장 흔한 각막이식의 적응증이라 할 수 있다[11-13]. 따라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그리고 전 세계적인 추세인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백내장과 함께 내피세포 기능 부전이 동반된 환자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경우 유수정체안내렌즈삽입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이 많이 있으며, 이들 중 상당수에서 각막내피세포 감소가 발견되어 렌즈를 제거하고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 보면 삼중 DMEK 수술은 앞으로도 계속 늘어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삼중 DMEK과 수정체안에서 시행된 DMEK (phakic-DMEK), 혹은 위수정체안에서 시행된 DMEK (pseudophakic-DMEK)과의 임상 성적을 비교하는 것은 환자의 예후와 시력 재건을 위해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다.
삼중 DMEK은 수정체 혹은 위수정체안에서 행해지는 DMEK에 비해 몇 가지 장점이 있다. 먼저 나눠서 수술하는 것에 비해 한 번에 수술이 이뤄지기 때문에 시력의 회복과 각막의 투명도 회복이 훨씬 빠르며 비용적인 면에서도 유리하다. 또 그간의 임상 결과들은 단독으로 이뤄지는 DMEK과 비교하여도 수술 성적이 나쁘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13,14]. 하지만 삼중 DMEK은 재공기주입술이 증가한다거나, 굴절 이상을 정확하게 교정하기 어렵고, 난시가 있는 경우 이를 정확히 교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7,15,16]. 본 연구는 기존의 보고와 달리 오랜 시간 각막보존용액에 의해 보존된 수입 각막을 이용하여 삼중 DMEK을 수행하였을 때의 수술 결과와 합병증의 발생에 대해 비교적 오랜 시간 관찰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우선 합병증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재공기주입술이 비교적 작은 숫자이긴 하지만, 10안을 제외한 대부분의 환자에서 시행되어 기존 보고에 비해 매우 높은 빈도를 보였다고 할 수 있다. 재공기주입술의 횟수는 대개 1–2회 정도였지만 수술 후 1일째와 8일째에 높은 시행 빈도를 보였으며, 이는 이전 보고에 비해서도 높은 수치였다. 재공기주입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는 환자의 나이, 백내장 수술 전 수정체의 상태, 전방의 깊이, 수술 후 환자의 순응도(수술 직후의 자세 유지 등), 수술자의 기술, 각막의 질병 상태 등이 알려져 있다[13,17]. 본 연구가 비교적 높은 재공기주입술 빈도를 보이는 것은 연구 대상자에 다양한 질환군이 포함되어 있고 특히, 외상, 녹내장 수술 등 합병된 상태인 환자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과 비교적 오래된 수입 각막을 사용하고 있음을 고려해야 할 것 같다. Dapena 등[18]의 보고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DMEK 수술 후 이식편 박리 빈도가 처음 45 케이스는 20% 정도이고 나중 100 케이스는 4.4%라고 보고하였다. 또 SF6 20% 가스의 사용은 재공기주입술의 빈도를 줄여준다고 하였다[19]. 본 연구는 200 케이스 이상의 DMEK 수술을 수행한 숙련된 수술자에 의해 수행되었고 SF6 가스를 모든 케이스에서 사용한 점을 고려할 때, 높은 재공기주입술 빈도에 대해 좀 더 많은 케이스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특히 본 연구는 많은 대상자들이 유수정체인공수정체안 및 외상이나 기타 합병된 안구 질환을 갖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재공기주입술 빈도를 줄이기 위해 대상자의 질환을 고려한 수술 방법의 선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환자의 시력 회복은 수술 후 1주째부터 서서히 시력 상승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술 1달째 거의 목표 시력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단계적으로 수술을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도 큰 차이가 없다[13-15]. 본 연구가 시력 회복에 초점을 맞춘 전향적 연구가 아니기에 어느 시점에 정확하게 목표 시력에 도달하는지는 알 수 없었다. 향후 이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연구에 포함된 대부분의 환자들이 수술 1개월째에 시력이 거의 유지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시력 회복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빠르게 이뤄짐을 짐작할 수 있겠다. 삼중 DMEK이 아니고 단계적으로 수술을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백내장 수술을 먼저하고 DMEK을 진행한다. 이는 DMEK을 먼저하고 백내장을 하는 경우는 DMEK 각막이식편에 손상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를 피하고자 함이다.
내피세포 손상(corneal endothelial cell loss)과 관련하여, 수술 1달째에는 Eversight에서 제공된 내피세포 밀도에 비해 약 40%의 손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3, 6, 12개월째 측정된 내피세포 밀도는 통계적인 차이 없이 잘 유지되었으며, 이는 수술 직후 수술로 인한 손상 이외에는 특별한 손상 없이 1년간 잘 유지되는 것으로 기존의 보고와 일치한다고 하겠다[20,21]. Laaser 등[14]의 보고에 의하면 수술 6개월째에 본 보고와 비슷한 약 40% 정도의 내피세포밀도 감소를 보고하였으나, Price and Price [22]나 Ham 등[23]은 각각 28%, 19% 정도의 손실률을 보고하고 있다. 기존의 보고에 비해 심한 내피세포 손상이 수술 초기에 발생한 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한 규명이 어렵다. 대부분의 경우 수술 시간이 30분 미만이었던 점을 생각하면 수술 중 요인이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기는 어려우며, 장기간 보존된 각막절편으로 인한 손상, 환자의 안내 요인에 의한 손상 등이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비교적 적은 수의 다양한 질환군을 대상으로 삼중 DMEK의 성적을 비교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문헌과 직접 비교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다만 우리나라 특성상 거의 모든 DMEK 각막이식편을 단일 회사의 수입 각막에 의존하고 있으며, 각막 구득부터 수술까지 상당한 시간이 지연된다는 점, 아직 우리나라에서 삼중 DMEK과 관련한 임상 결과 보고가 없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의미 있는 보고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와, 숙련된 술자들을 포함하는 다기관 연구를 계획하여 임상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rticle Information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DIL, HKL. Data curation: DIL, HKL, JSC. Formal analysis: JSC, SSK. Investigation: DIL. Methodology: SSK, JSC. Software: SSK, JSC. Validation: SSK, JSC. Visualization: SSK, JSC. Supervision: HKL. Funding acquisition: HKL. Project administration: HKL. Writing – original draft: HKL. Writing – review & editing: DIL, HKL.
Conflicts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Funding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Advanced Science Research Program (Grant no. RS-2024-00344204)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Data availability
The data that suppo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vailable from the corresponding author upon reasonable request.
Fig. 1.Visual acuity (logMAR) over time.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LogMAR,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Fig. 2.Endothelial cell count over time.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Fig. 3.Central corneal thickness (CCT) over time.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Fig. 4.Corneal astigmatism measured by Scheimpflug over time.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D, diopter.
Fig. 5.Corneal astigmatism measured by autorefractor keratometer over time.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D, diopter.
Table 1.Demographics of study participants (n=26) and their eyes (n=30)
|
Characteristic |
Value |
|
Age (yr) |
62.5±13.2 (41–84) |
|
Eye (right:left) |
11:19 |
|
Sex (male:female) |
10:16 |
|
Preoperative diagnosis |
|
|
Fuchs’ corneal dystrophy |
12 |
|
Phakic intraocular lens |
12 |
|
Trauma |
2 |
|
Viral |
2 |
|
Angle closure glaucoma |
2 |
|
Diabetes (yes:no) |
6:20 |
|
Glaucoma (yes:no) |
4:26 |
|
Vitrectomized (yes:no) |
1:29 |
|
Donor size (mm) |
8.46±0.22 (8.00–9.00) |
|
Rebubbling |
1.03±1.03 (0–4) |
|
Regraft (yes:no) |
4:26 |
References
- 1. Melles GR, Ong TS, Ververs B, van der Wees J.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DMEK). Cornea 2006;25:987‒90. ArticlePubMed
- 2. Melles GR, Ong TS, Ververs B, van der Wees J. Preliminary clinical results of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Am J Ophthalmol 2008;145:222‒7. ArticlePubMed
- 3. Anshu A, Price MO, Tan DT, Price FW Jr. Endothelial keratoplasty: a revolution in evolution. Surv Ophthalmol 2012;57:236‒52. ArticlePubMed
- 4. Anshu A, Price MO, Price FW. Descemet's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long-term graft survival and risk factors for failure in eyes with preexisting glaucoma. Ophthalmology 2012;119:1982‒7. ArticlePubMed
- 5. Augustin VA, Son HS, Yildirim TM, et al. Refractive outcomes after DMEK: meta-analysis. J Cataract Refract Surg 2023;49:982‒7. ArticlePubMed
- 6. McKee Y, Price MO, Gunderson L, Price FW Jr. Rapid sequential endothelial keratoplasty with and without combined cataract extraction. J Cataract Refract Surg 2013;39:1372‒6. ArticlePubMed
- 7. Semler-Collery A, Bloch F, Hayek G, et al. Comparison of triple-DMEK to pseudophakic-DMEK: a cohort study of 95 eyes. PLoS One 2022;17:e0267940. ArticlePubMedPMC
- 8. Ighani M, Karakus S, Eghrari AO. Clinical outcomes of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using the Bonfadini-Todd injector for graft insertion. Clin Ophthalmol 2019;13:1869‒76. ArticlePubMedPMC
- 9. Chaurasia S, Price FW Jr, Gunderson L, Price MO. Descemet's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clinical results of single versus triple procedures (combined with cataract surgery). Ophthalmology 2014;121:454‒8. ArticlePubMed
- 10. Kim M, Kim KH, Lee HK. Clinical outcomes of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using a preloaded imported graft. Korean J Ophthalmol 2023;37:373‒9. ArticlePubMedPMCPDF
- 11. Ramke J, Evans JR, Habtamu E, et al. Grand challenges in global eye health: a global prioritisation process using Delphi method. Lancet Healthy Longev 2022;3:e31‒41. ArticlePubMedPMC
- 12. Nanda GG, Alone DP. Review: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pathogenesis of Fuchs' endothelial corneal dystrophy. Mol Vis 2019;25:295‒310. PubMedPMC
- 13. Tey KY, Tan SY, Ting DS, et al. Effects of combined cataract surgery on outcomes of Descemet's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Front Med (Lausanne) 2022;9:857200.ArticlePubMedPMC
- 14. Laaser K, Bachmann BO, Horn FK, et al.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combined with phacoemulsification and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advanced triple procedure. Am J Ophthalmol 2012;154:47‒55.e2. ArticlePubMed
- 15. Schoenberg ED, Price FW Jr, Miller J, et al. Refractive outcomes of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triple procedures (combined with cataract surgery). J Cataract Refract Surg 2015;41:1182‒9. ArticlePubMed
- 16. Yokogawa H, Sanchez PJ, Mayko ZM, et al. Corneal astigmatism stability in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for Fuchs corneal dystrophy. Cornea 2016;35:932‒7. ArticlePubMed
- 17. Parekh M, Pedrotti E, Viola P, et al.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rate of preloaded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with endothelium-inward technique: a multicenter clinical study. Am J Ophthalmol 2022;241:272‒81. ArticlePubMed
- 18. Dapena I, Ham L, Droutsas K, et al. Learning curve in Descemet's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first series of 135 consecutive cases. Ophthalmology 2011;118:2147‒54. ArticlePubMed
- 19. Botsford B, Vedana G, Cope L, et al. Comparison of 20% sulfur hexafluoride with air for intraocular tamponade in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DMEK). Arq Bras Oftalmol 2016;79:299‒302. ArticlePubMed
- 20. Scherer NC, Kassumeh S, Dirisamer M, et al. Quantitative analysis of endothelial cell damage in corneal grafts used for endothelial keratoplasty and correlation to donor tissue characteristics and postoperative parameters. Cornea 2025 Aug 13 [Epub]. https://doi.org/10.1097/ico.0000000000003971. ArticlePubMed
- 21. Augustin VA, Friedrich M, Son HS, et al. Cataract surgery and DMEK: decision-making and the timing of the respective interventions. Klin Monbl Augenheilkd 2025;242:807‒12. ArticlePubMed
- 22. Price MO, Price FW Jr. Descemet’s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surgery: update on the evidence and hurdles to acceptance. Curr Opin Ophthalmol 2013;24:329‒35. ArticlePubMed
- 23. Ham L, van Luijk C, Dapena I, et al. Endothelial cell density after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1- to 2-year follow-up. Am J Ophthalmol 2009;148:521‒7. ArticlePubMed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