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Insights Cataract Refract Surg : Insights in Cataract and Refractive Surgery

OPEN ACCESS

Articles

Page Path
HOME > Insights Cataract Refract Surg > Volume 10(3); 2025 > Article
Original Article
각막굴절교정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 결과
김은철orcid
Results of multifocal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in patients who underwent corneal refractive surgery
Eun Chul Kimorcid
Insights in Cataract and Refractive Surgery 2025;10(3):76-82.
DOI: https://doi.org/10.63375/icrs.25.011
Published online: October 31, 2025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부천성모병원 안과학교실

Department of Ophthalmology, Bucheon St. Mary’s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Correspondence: Eun Chul Kim Department of Ophthalm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Bucheon St. Mary's Hospital, 327 Sosa-ro, Wonmi-gu, Bucheon 14647, Korea Tel: +82-32-340-2125 E-mail: eunchol@hanmail.net
• Received: August 12, 2025   • Revised: September 26, 2025   • Accepted: September 27, 2025

© 2025 Korean Society of Cataract and Refractive Surger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 87 Views
  • 2 Download
prev next
  • 목적
    각막굴절교정수술을 받은 백내장 환자에서 삼중초점 인공수정체의 임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 방법
    과거에 각막굴절교정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삼중초점 인공수정체(Synergy: ZFR00V)를 삽입한 30안(1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술 후 1, 3개월 나안과 교정 원거리, 중간 거리, 근거리 시력과 현성굴절검사 및 환자만족도 설문을 시행하였다.
  • 결과
    삼중초점 인공수정체 삽입 후 나안 원거리, 중간 거리, 근거리 시력과 현성굴절검사는 각각 수술 전보다 개선되었다(P<0.05). 수술 후 굴절값과 인공수정체 계산값의 오차는 Haigis-L보다 Barret True K 공식이 더 적었다(P<0.05). 탈초점 곡선상 0 diopter (D)뿐만 아니라 –1에서 –1.5 D까지와 –2.5에서 –4.0 D까지 곡선의 상승이 있어 원거리, 중간 거리, 근거리의 시력 개선이 있었다. 설문 조사에서 원거리 만족도(1.47±0.63), 근거리 만족도(1.25±0.71)와 전반적 만족도(1.36±0.42)는 좋았으나 빛 번짐과 달무리 만족도(1.97±0.85)는 좋지 않았다.
  • 결론
    과거 각막굴절교정수술을 받은 백내장 환자에서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결과, 원거리, 중간 거리, 근거리 나안 시력이 우수하였으나 빛 번짐과 달무리의 부작용이 있었으므로 환자 선택에 신중을 가해야 할 것이다.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multifocal intraocular lenses in patients who underwent corneal refractive surgery.
  • Methods
    Thirty eyes (16 patients; Synergy: ZFR00V) were retrospectively enrolled. Uncorrected and corrected near visual acuity (UNVA, CNVA), intermediate visual acuity (UIVA, CIVA), and distant visual acuity (UDVA, CDVA), manifest refraction spherical equivalent (MRSE), and satisfaction score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surgery.
  • Results
    The postoperative UDVA, UIVA, UNVA, and MRSE of the three groups exhibited improvements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data (P<0.05). The error between the postoperative refraction and the intraocular lens calculation was smaller with the Barrett True K formula than with the Haigis-L formula (P<0.05). The defocus curve at 0 diopter (D) increased, from –1 to –1.5 D, and from –2.5 to –4.0 D, indicating improved vision at distant, intermediate, and near distances. Distance satisfaction (1.47±0.63), near satisfaction (1.25±0.71), and overall satisfaction (1.36±0.42) were good, but light scattering and halo satisfaction (1.97±0.85) yielded a poor result.
  • Conclusion
    In patients with cataracts who underwent corneal refractive surgery, multifocal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resulted in excellent uncorrected visual acuity at distant, intermediate, and near distances. However, carefu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patient selection due to the incidence of side effects such as glare and halos.
각막굴절수술은 수십 년 동안 시행되어 왔으며 수백만 명의 환자가 안경 없이 선명한 시력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왔다. 현재 이 환자들 중 다수는 백내장을 앓고 있으며, 여러 요인으로 인해 각막굴절교정수술을 받은 환자는 정상 각막 환자보다 일찍 백내장 수술을 받는 경향이 있다[1]. 각막굴절교정수술을 받았던 환자들은 안경 착용을 원하지 않는 집단으로, 백내장 수술 후 굴절 결과에 대해 더 높은 기대치를 가진다[2].
노안 교정 인공수정체인 삼중초점 인공수정체와 연속초점 인공수정체는 나안 중간 거리 및 근거리 시력을 개선시키므로, 단초점 인공수정체보다 안경 없이도 시력을 유지할 수 있는 비율이 더 높다[3]. 그러나 이러한 노안 교정 인공수정체 중 다수는 이상광시증의 위험이 증가하고 대비 감도도 감소되어 환자들의 불편이 발생한다[4]. 심지어 완벽한 수술 결과를 얻은 환자들조차도 결과에 불만족할 수 있으며, 기대가 높고 까다로운 환자들은 노안 교정 인공수정체와 관련된 이상광시증과 빛 번짐 등의 합병증을 감내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적절한 상담을 받고 이러한 인공수정체의 단점을 이해하는 환자를 수술해야 할 것이다.
각막굴절교정수술을 받은 과거력이 노안 교정 인공수정체의 절대적인 금기사항은 아니지만, 추가적인 평가와 상담이 필요하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환자의 노안 교정 인공수정체와 관련된 문제는 정량화되지 않았으며, 어떤 환자가 적합한 후보인지 판단하기 위한 포괄적인 지침도 공식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비표준화된 결과 보고는 연구 간 비교 및 삼중초점 인공수정체 삽입의 지침 수립을 어렵게 한다[5]. 이러한 환자의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은 정상각막환자에 비해 매우 부정확하므로 안과의사에게 추가적인 과제를 제기한다[6].
이에 저자들은 과거에 각막굴절교정수술을 받은 백내장 환자에서 삼중초점 인공수정체 삽입 후 인공수정체 계산 공식에 따른 최종 굴절력 결과 및 근거리, 중간 거리, 원거리 시력 개선 정도를 포함한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후향적으로 차트 검토와 데이터 분석을 수행했다. 이 연구는 기관 검토위원회 규정 및 헬싱키 선언에 따라 수행되었다. 부천성모병원 윤리위원회는 본 연구 계획서(HC24QCDI0055)를 승인하였다. 각막굴절교정수술 과거력이 있는 환자 중 백내장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의 시력저하를 가진 환자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포함했으며, 심한 각막혼탁이나 수정체혼탁, 불규칙한 각막표면 등의 원인으로 굴절률이나 각막곡률을 측정할 수 없는 경우, 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저 안과 질환이 있는 경우, 시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특이 전신적 질환이 있는 경우, 후낭파열 등의 수술 중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는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환자 검사
2023년 5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부천성모병원에서 과거에 근시로 각막굴절교정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삼중초점 인공수정체(Synergy: ZFR00V; Johnson & Johnson)를 삽입한 30안(16명)을 대상으로 등록하였다. 수술 전 검사로는 환자 병력 청취, 나안 시력, 최대교정시력, 현성굴절검사, 세극등 현미경검사, 안저검사, 안축장, 각막곡률측정검사 및 각막지형도 검사(Pentacam, Oculus GmBH)를 시행하였다. 안축장은 IOLMaster700 (Carl Zeiss Meditec Inc.)으로 측정하였고 측정되지 않는 경우 A-scan (Axis II, Quantel Medical)을 이용하였다. 현성굴절검사, 시력검사 및 세극등 검사를 수술 후 1일, 1주, 1개월, 2개월에 시행하였다. 백내장 수술 후 2개월째에 번역본 Cataract TyPE Specification questionnaire를 통해 환자의 만족도를 평가했다[7].
수술 방법
모든 수술은 한 명의 숙련된 술자(ECK)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가파른 난시축의 방향으로 2.75 mm의 투명 각막절개를 한 후 Centurion Vision System (Alcon Laboratories Inc.)과 OZil Torsional Handpiece (Alcon Laboratories Inc.)를 이용하여 수정체유화술을 시행하였다. 인공수정체를 후낭에 삽입한 후 인공수정체 뒤에 남아있는 점탄 물질을 제거하고 수술을 마무리하였다.
통계 분석
통계적 계산은 IBM SPSS ver. 22.0 (IBM Corp.)를 이용하였다. 수술 전·후의 시력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paired t 검정을 이용했다. 모든 수치는 평균±표준편차의 형식으로 나타내었다.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값으로 간주하였다.
나이, 구면굴절대응치, 원거리 나안시력, 교정시력을 포함한 수술 전 데이터는 Table 1에 기술되어 있다.
술 후 시력 결과
세 군의 수술 후 나안 원거리 시력(0.05±0.02 logMAR) 및 교정 원거리 시력(0.02±0.01)과 구면굴절대응치(–0.4±0.32 D)는 각각 수술 전보다 향상되었다(P<0.05). 나안 중간 거리 시력(0.04±0.02)과 근거리 시력(0.03±0.01)은 각각 양호하였다. 인공수정체 공식은 Haigis-L 공식이 Barret True K 공식보다 술 후 구면굴절대응치에서 차이가 났다(P<0.05) (Table 2). 술 후 구면굴절대응치가 ±0.5 D 이내인 경우는 22안(73.3%)이었으며, ±1.0 D 이내인 경우는 27안(90.0%)이었다(Fig. 1).
탈초점 곡선
탈초점 곡선은 탈초점 0 D (4 m)에서 최고점을 보였으며, 근시 탈초점과 원시 탈초점이 증가함에 따라 시력이 점차 감소하였다. 중간 거리 영역(–1.5에서 –2 D; 50–67 cm에 해당)을 따라 부드러운 곡선을 보였고, –3 D의 탈초점 곡선(33 cm에 해당)에서도 좋은 시력 결과를 보였다(Fig. 2).
환자 만족도 점수
전체적인 만족도와 원거리 만족도, 그리고 근거리 만족도는 양호하였다. 그러나, 눈부심과 빛 번짐에 대한 만족도(1.97±0.85)는 전체적인 만족도(1.36±0.42)와 원거리 만족도(1.47±0.63), 그리고 근거리 만족도(1.25±0.71)에 비해 유의하게 나빴다(P<0.05) (Table 3).
이전에 각막굴절수술을 성공적으로 받았고, 안경을 쓰지 않아도 된다는 높은 기대와 동기를 가진 환자는 백내장이 생겼을 때 노안 교정을 요청할 가능성이 더 높다. 백내장 수술 시 삼중초점 인공수정체 삽입은 나안 근거리, 중간 거리 및 원거리 시력이 우수하여 안경이 필요 없을 수가 있고 높은 환자 만족도를 제공할 수 있다[8]. 그러나 이런 환자에게 삼중초점 인공수정체를 이식하기로 결정하는 것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전에 각막굴절수술을 받은 눈에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것은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의 오차로 인해 많은 어려움이 있다[5,9]. 각막굴절수술을 받은 환자는 백내장수술 후 원시로 편향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지만[10], 현재까지 보고된 일부 인공수정체 파워 계산 방법은 이전 각막굴절수술을 받은 눈의 인공수정체 도수 측정에 사용되었으며,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제공했다[11,12].
American Society of Cataract and Refractive Surgery (ASCRS) 온라인 calculator를 사용한 경우 수술 후 굴절오차 절댓값이 Shammas (0.7±0.75 D), Haigis-L (0.72±0.57 D), average (0.79±0.8 D), Barrett True-K no history (Barrett TKNH) (1.14±0.89 D), modified Masket (1.4±1.15D), True-K no history (Barrett TKNH) (1.45±0.7 D), 그리고 Masket (1.64±1.27 D)으로 보고되었다. 이 중 술 후 ±0.5 D 이내의 굴절값을 갖는 비율은 평균(52%), Shammas (48%), and Haigis-L (44%)으로 비교적 정확한 수치를 나타냈다[13]. 안축장이 25 mm 이상인 환자에서는 Barrett TKNH, Triple-S, minimum, 그리고 Schuster/Schanzlin-Thomas-Purcell (SToP) (SRK/T) 공식이 비교적 정확하고 안축장이 28 mm 이상인 환자에서는 Barrett TKNH와 SToP (SRK/T) 공식이 정확하다는 보고도 있었다[14]. Ray-tracing calculation 방법 중에서는 굴절오차 절대값 중간값이 Potvin-Hill과 Barrett TKNH가 0.39±0.78과 0.64±1.00 D로 가장 정확했다. 술 후 ±0.5 D 이내의 굴절값을 갖는 비율은 Potvin-Hill (64%)과 Barrett TKNH (44%)가 가장 좋았다[15]. 본 연구에서는 인공수정체 공식은 Haigis-L 공식이 Barrett True K 공식보다 술 후 구면굴절대응치의 오차가 더 커서(P<0.05) Barrett True K가 더 정확했다(Table 2). 술 후 구면굴절대응치가 ±0.5 D 이내인 경우는 22안(73.3%)이었으며, ±1.0 D 이내인 경우는 27안(90.0%)이었다(Fig. 1).
그리고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삼중초점 인공수정체의 성능은 널리 연구되지 않았으며, 발표된 근거 또한 여전히 부족하다. 연속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연구에서는 탈초점 곡선이 +0.50에서 –1.50 D까지 나안시력이 0.20 logMAR 이상을 나타내어 원거리와 중간 거리에서 좋은 결과를 얻었다. 이상 반응인 starbursts, halos, glare, hazy vision, blurry vision, 그리고 복시는 각각 24%, 24%, 28%, 28%, 8%, 그리고 4%로 나타났다[16].
한 후향적 연구에서는 근시로 인해 각막굴절교정수술을 시행 받은 13명의 환자 20안에서 삼중초점 인공수정체 AT LISA tri839MP를 삽입한 시력 결과를 평가했다. 근거리 및 원거리 시력 모두 양호한 시력 결과가 기록되었지만, 원거리 시력보다 근거리 시력의 예측 가능성이 더 높았다. 수술 후 유의미한 근시 변화(–0.92±0.76 D)가 관찰되었으며, 환자의 5%는 유의미한 양성 이상광증상(달무리 및 눈부심)을 보고했고, 환자의 50%만이 안경을 완전히 착용하지 않아도 되는 결과를 얻었다[17]. 삼중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다른 연구에서는 술 후 굴절력이 ±0.50 D 이내인 경우가 57%이며 ±1.0 D 이내인 경우가 86%였다. 각막굴절교정수술 전의 근시가 6.0 D 이상일 경우는 그 이하였을 경우보다 백내장 수술 후 굴절예측도가 떨어졌다(P=0.026) [18].
다른 연구에 따르면, 각막레이저굴절수술 그룹에서는 92.16%의 눈이 평균구면대응치 ±0.50 D 이내였고, 99.02%의 눈이 ±1.00 D 이내였으며, 91.18%의 눈이 0.50 D 이하의 난시를 보였다. 방사상 각막절개술 그룹에서는 81.82%의 눈이 평균구면대응치 ±0.50 D 이내, 100%의 눈이 ±1.00 D 이내였으며, 68.18%의 눈이 0.50 D 이하의 잔여 난시를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해 이전에 각막굴절교정수술 또는 방사상 각막절개술을 받은 눈에 회절 삼중초점 인공수정체를 사용하면 좋은 임상적 결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19]. 또한 고도원시에 대한 굴절교정수술 안구에서는 삼중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결과가 좋지 않았고, 굴절교정수술 안구에서 삼중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 후 잔여굴절 이상이 발생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는 보고도 있다[20].
삼중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본 연구에서는 세 군의 수술 후 나안 원거리 시력(0.05±0.02 logMAR) 및 교정 원거리 시력(0.02±0.01)과 구면굴절대응치(–0.4±0.32 D)는 각각 수술 전보다 향상되었다(P<0.05). 나안 중간 거리 시력(0.04±0.02)과 근거리 시력(0.03±0.01)은 각각 양호하였다(Table 2). 탈초점 곡선은 탈초점 0 D (4 m)에서 최고점을 보였으며, 중간 거리 영역(–1.5에서 –2 D; 50–67 cm에 해당)을 따라 부드러운 곡선을 보였고, –3 D의 탈초점 곡선(33 cm에 해당)에서도 좋은 시력 결과를 보였다(Fig. 2). 눈부심과 빛 번짐에 대한 만족도(1.97±0.85)는 전체적인 만족도(1.36±0.42)와 원거리 만족도(1.47±0.63), 그리고 근거리 만족도(1.25±0.71)에 비해 유의하게 나빴다(P<0.05) (Table 3).
본 연구에서는 각막굴절교정수술을 시행했던 환자에서 삼중초점 인공수정체 삽입 후 임상 결과와 환자 만족도를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본 연구에서의 제한점을 기술한다면 삼중초점 인공수정체의 장기적인 효능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향후 더 큰 표본 크기와 더 긴 추적 기간을 가진 다기관 임상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각막굴절교정수술을 시행했던 환자에서 삼중초점 인공수정체는 훌륭한 나안 원거리, 중간 거리 및 근거리 시력을 가져 일상생활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과 전체적 만족도는 좋았으나 눈부심과 빛 번짐에 대한 만족도는 비교적 좋지 않았다. 이전에 각막굴절교정수술을 받았더라도 적절하게 환자를 선택하면 삼중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것이 일상생활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Author contributions

All the work was done by ECK.

Conflicts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Funding

Not applicable.

Data availability

The data that suppor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vailable from the corresponding author upon reasonable request.

Fig. 1.
Percentage of eyes within target refraction. The postoperative percentage of eyes within ±0.50 D was 73.3% and ±1.0 D was 90.0%.
icrs-25-011f1.jpg
Fig. 2.
Mean defocus curves. The defocus curve showed a peak at defocus 0 D (4 m) and a smooth curve along the intermediate distance range (–1.5 to –2 D; corresponding to 50 to 67 cm), and good visual acuity results were also observed at the defocus curve of –3 D (corresponding to 33 cm). LogMAR,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icrs-25-011f2.jpg
Table 1.
Preoperative data
Parameter Value
OD:OS 15:15
Sex (male:female) 6:10
Age (yr) 60.1±6.2 (50 to 75)
Preoperative UDVA (logMAR) 0.35±0.21 (0.12 to 0.67)
Preoperative CDVA (logMAR) 0.23±0.15 (0.10 to 0.53)
Manifest sphere (D) 1.68±1.98 (–3.50 to 4.50)
Manifest cylinder (D) –1.25±0.74 (–2.50 to 0.00)
Manifest spherical equivalent (D) 1.57±2.35 (–3.25 to 4.25)
Intraocular lens power (D) 19.54±1.78 (15.5 to 23.0)
No. of eyes 30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range).

OD, oculus dexter; OS, oculus sinister; UDVA, uncorrected distant visual acuity; CDVA, corrected distant visual acuity; logMAR,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D, diopter.

Table 2.
Postoperative outcomes at 2 months after surgery
Parameter Value
Postoperative UDVA (logMAR) 0.05±0.02
Postoperative CDVA (logMAR) 0.02±0.01
Postoperative UIVA (logMAR) 0.04±0.02
Postoperative UNVA (logMAR) 0.03±0.01
Manifest sphere (D) –0.11±0.21
Manifest cylinder (D) –0.58±0.28
Manifest spherical equivalent (D) –0.4±0.32
Target refraction of Haigis-L (D) 0.18±0.32 (P=0.04)*
Target refraction of Barrett True-K (D) 0.10±0.25 (P>0.05)
No. of eyes 30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The Haigis-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ostoperative manifest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on.

UDVA, uncorrected distant visual acuity; CDVA, corrected distant visual acuity; UIVA, uncorrected intermediate visual acuity; UNVA, uncorrected near visual acuity; logMAR,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D, diopter.

*P<0.05.

Table 3.
Subjective satisfaction score
Parameter Value
Overall satisfaction 1.36±0.42
Far vision satisfaction 1.47±0.63
Near vision satisfaction 1.25±0.71
Glare, Halo 1.97±0.85*
No. of eyes 30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A low score indicates high satisfaction. Glare and halo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verall, far vision, or near vision satisfaction, respectively.

*P<0.05.

  • 1. Moshirfar M, Ostler EM, Smedley JG, et al. Age of cataract extraction in post-refractive surgery patients. J Cataract Refract Surg 2014;40:841‒2. ArticlePubMed
  • 2. Brierley L. Refractive results after implantation of a light-adjustable intraocular lens in postrefractive surgery cataract patients. Ophthalmology 2013;120:1968‒72. ArticlePubMed
  • 3. Wang SY, Stem MS, Oren G, et al. Patient-centered and visual quality outcomes of premium cataract surgery: a systematic review. Eur J Ophthalmol 2017;27:387‒401. ArticlePubMedPDF
  • 4. Khandelwal SS, Jun JJ, Mak S, et al. Effectiveness of multifocal and monofocal intraocular lenses for cataract surgery and lens replace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19;257:863‒75. ArticlePubMedPDF
  • 5. Alio JL, Alio Del Barrio JL, Vega-Estrada A. Accommodative intraocular lenses: where are we and where we are going. Eye Vis (Lond) 2017;4:16.ArticlePubMedPMC
  • 6. Wang L, Koch DD. Intraocular lens power calculations in eyes with previous corneal refractive surgery: review and expert opinion. Ophthalmology 2021;128:e121‒31. ArticlePubMed
  • 7. Cochener B. Clinical outcomes of a new extended range of vision intraocular lens: international multicenter concerto study. J Cataract Refract Surg 2016;42:1268‒75. ArticlePubMed
  • 8. Bilbao-Calabuig R, Ortega-Usobiaga J, Mayordomo-Cerda F, et al. Trifocal versus monofocal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in eyes previously treated with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LASIK) for myopia. Indian J Ophthalmol 2024;72(Suppl 2):S254‒9. ArticlePubMedPMC
  • 9. Bai G, Li X, Zhang S, et al. Analysis of visual quality after multifocal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in post-LASIK cataract patients. Heliyon 2023;9:e15720. ArticlePubMedPMC
  • 10. Saiki M, Negishi K, Kato N, et al. Ray tracing software for intraocular lens power calculation after corneal excimer laser surgery. Jpn J Ophthalmol 2014;58:276‒81. ArticlePubMedPDF
  • 11. Wang L, Tang M, Huang D, et al. Comparison of newer intraocular lens power calculation methods for eyes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Ophthalmology 2015;122:2443‒9. ArticlePubMedPMC
  • 12. Chan TC, Liu D, Yu M, Jhanji V. Longitudinal evaluation of posterior corneal elevation after laser refractive surgery using swept-sour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phthalmology 2015;122:687‒92. ArticlePubMed
  • 13. Lwowski C, Pawlowicz K, Hinzelmann L, et al. Prediction accuracy of IOL calculation formulas using the ASCRS online calculator for a diffractive extended depth-of-focus IOL after myopic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J Cataract Refract Surg 2020;46:1240‒6. ArticlePubMed
  • 14. Tan Q, Wang Y, Zhao L, et al. Prediction accuracy of no-history intraocular lens formulas for a diffractive extended depth-of-focus intraocular lens after myopic corneal refractive surgery. J Cataract Refract Surg 2022;48:462‒8. ArticlePubMed
  • 15. Lwowski C, Van Keer K, Adas M, et al. Ray-tracing calculation using scheimpflug tomography of diffractive extended depth of focus IOLs following myopic LASIK. J Refract Surg 2021;37:231‒9. ArticlePubMed
  • 16. Carreras H, Renones J, Carreras MD, et al. Clinical performance of an extended range of vision intraocular lens after LASIK. J Refract Surg 2024;40:e742‒53. ArticlePubMed
  • 17. Chow SS, Chan TC, Ng AL, Kwok AK. Outcomes of presbyopia-correcting intraocular lenses afte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Int Ophthalmol 2019;39:1199‒204. ArticlePubMedPDF
  • 18. Vrijman V, van der Linden JW, van der Meulen IJ, et al. Multifocal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after previous corneal refractive laser surgery for myopia. J Cataract Refract Surg 2017;43:909‒14. ArticlePubMed
  • 19. Vryghem JC, Laouani A, Mansouri M. Clinical outcomes using a trifocal intraocular lens in eyes after previous las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or radial keratotomy: 1-year of follow-up. Clin Ophthalmol 2025;19:3089‒102. ArticlePubMedPMCPDF
  • 20. Susanna BN, Ferguson TJ, Randleman JB. Cataract surgery following refractive surgery: principles for success. Asia Pac J Ophthalmol (Phila) 2025;14:100227.ArticlePubMed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ePub LinkePub Link
      • Cite
        CITE
        export Copy Download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Results of multifocal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in patients who underwent corneal refractive surgery
        Insights Cataract Refract Surg. 2025;10(3):76-82.   Published online October 31, 2025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Figure
      • 0
      • 1
      We recommend
      Results of multifocal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in patients who underwent corneal refractive surgery
      Image Image
      Fig. 1. Percentage of eyes within target refraction. The postoperative percentage of eyes within ±0.50 D was 73.3% and ±1.0 D was 90.0%.
      Fig. 2. Mean defocus curves. The defocus curve showed a peak at defocus 0 D (4 m) and a smooth curve along the intermediate distance range (–1.5 to –2 D; corresponding to 50 to 67 cm), and good visual acuity results were also observed at the defocus curve of –3 D (corresponding to 33 cm). LogMAR,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Results of multifocal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in patients who underwent corneal refractive surgery
      Parameter Value
      OD:OS 15:15
      Sex (male:female) 6:10
      Age (yr) 60.1±6.2 (50 to 75)
      Preoperative UDVA (logMAR) 0.35±0.21 (0.12 to 0.67)
      Preoperative CDVA (logMAR) 0.23±0.15 (0.10 to 0.53)
      Manifest sphere (D) 1.68±1.98 (–3.50 to 4.50)
      Manifest cylinder (D) –1.25±0.74 (–2.50 to 0.00)
      Manifest spherical equivalent (D) 1.57±2.35 (–3.25 to 4.25)
      Intraocular lens power (D) 19.54±1.78 (15.5 to 23.0)
      No. of eyes 30
      Parameter Value
      Postoperative UDVA (logMAR) 0.05±0.02
      Postoperative CDVA (logMAR) 0.02±0.01
      Postoperative UIVA (logMAR) 0.04±0.02
      Postoperative UNVA (logMAR) 0.03±0.01
      Manifest sphere (D) –0.11±0.21
      Manifest cylinder (D) –0.58±0.28
      Manifest spherical equivalent (D) –0.4±0.32
      Target refraction of Haigis-L (D) 0.18±0.32 (P=0.04)*
      Target refraction of Barrett True-K (D) 0.10±0.25 (P>0.05)
      No. of eyes 30
      Parameter Value
      Overall satisfaction 1.36±0.42
      Far vision satisfaction 1.47±0.63
      Near vision satisfaction 1.25±0.71
      Glare, Halo 1.97±0.85*
      No. of eyes 30
      Table 1. Preoperative data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range).

      OD, oculus dexter; OS, oculus sinister; UDVA, uncorrected distant visual acuity; CDVA, corrected distant visual acuity; logMAR,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D, diopter.

      Table 2. Postoperative outcomes at 2 months after surgery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The Haigis-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ostoperative manifest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on.

      UDVA, uncorrected distant visual acuity; CDVA, corrected distant visual acuity; UIVA, uncorrected intermediate visual acuity; UNVA, uncorrected near visual acuity; logMAR,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D, diopter.

      P<0.05.

      Table 3. Subjective satisfaction score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A low score indicates high satisfaction. Glare and halo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verall, far vision, or near vision satisfaction, respectively.

      P<0.05.


      Insights Cataract Refract Surg : Insights in Cataract and Refractive Surgery
      Close layer
      TOP